양쪽으로 갈라진 골짜기[八八]와 골짜기의 입구[口]를 본떴다. 우리말의 메골은 山谷으로, 밤골은 栗谷으로 쓴다. 여기서 확인한 것과 마찬가지로 谷은 ‘골’로 발음하며 뜻을 ‘고을’과 동일하며, 옛 사람들의 생활 근거지였다. 계곡은 산에서 내려오는 모든 물들이 모여드는 곳이다. 때문에 谷은 대체로 ‘넓다’, ‘받아들이다’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.
예컨대 물[氵]을 받아들인 가득한 계곡[谷]에서 목욕하다는 뜻을 가진 浴(목욕할 욕), 칼로 베어낸 듯[割 : 벨 할]한 넓은 골짜기[谷]라는 뜻을 가진 豁(뚫린 골짜기 활), 골짜기[谷]처럼 모든 것을 다 받아들이는 넓은 집[宀]을 뜻하는 容(용납할 용), 옷[衣]이 계곡[谷]처럼 넓다는 뜻을 가진 裕(넉넉할 유), 계곡[谷]처럼 크게 입을 벌린[欠] 입처럼 모든 것을 받아들일 듯 욕심을 부리는 欲(하고자할 욕) 등이 있다.